1_1_내 친구를 소개합니다_단원 정리.ppt
1_1_내 친구를 소개합니다_단원 정리.ppt
아래 정보가 함께 발송됩니다.
이곳은 사용자가 1:1문의를 합니다.
문의드립니다.
이곳에는 답변 내용을 보내줍니다.
문의드립니다.
이곳에는 답변 내용을 보내줍니다. 네, 가능합니다.
이곳에는 답변 내용을 보내줍니다.
문의드립니다.
이곳에는 답변 내용을 보내줍니다. 네, 가능합니다.
隔世之感 격세지감 | |
---|---|
풀이 | 세상을 거른 듯한 느낌 ⇨ 오래지 않은 동안에 몰라보게 변하여 아주 다른 세상이 된 것 같은 느낌 |
용례 | 한국 축구는 10년 전에 비해 隔世之感을 느낄 정도로 변했다. |
今昔之感 금석지감 | |
풀이 | 지금과 옛날에 대한 느낌 ⇨ 지금과 옛날의 차이가 너무 심하여 생기는 느낌 |
용례 | 사십 년 만에 조국을 찾게 보니 今昔之感을 금할 수가 없다. |
怒發大發 노발대발 | |
풀이 | 몹시 노하여 펄펄 뛰며 성을 냄. |
용례 | 할머니는 내가 장독을 깬 것을 보시고 怒發大發하셨다. |
多情多感 다정다감 | |
풀이 | 정이 많고 감정이 풍부함. |
용례 | 그녀는 무엇보다도 그의 多情多感한 성격이 마음에 들었다. |
斷腸 단장 | |
풀이 | 창자가 끊어짐. ⇨ 마음이 몹시 슬픔. |
용례 | 역사처럼 긴 슬픔이 가야금 줄을 타고 먼 데서 전해 오는 斷腸의 비애가 가슴을 저민다. |
유래 | "세설신어(世說新語)"의 '출면편(黜免篇)'에 나오는 이야기이다. 진(晉)나라 환온(桓溫)이 촉(蜀)을 정벌하기 위해 여러 척의 배에 군사를 나누어 싣고 가는 도중 양쯔 강 중류의 협곡인 삼협(三峽)이라는 곳을 지나게 되었다. 이곳은 쓰촨과 후베이의 경계를 이루는 곳으로 중국에서도 험하기로 유명한 곳이다. 이곳을 지나면서 한 병사가 새끼원숭이 한 마리를 잡아 왔다. 그런데 그 원숭이 어미가 환온이 탄 배를 좇아 백여 리를 뒤따라오며 슬피 울었다. 그러다가 배가 강 어귀가 좁아지는 곳에 이를 즈음에 그 원숭이는 몸을 날려 배 위로 뛰어올랐다. 하지만 원숭이는 자식을 구하려는 일념으로 애를 태우며 달려왔기 때문에 배에 오르자마자 죽고 말았다. 배에 있던 병사들이 죽은 원숭이의 배를 가르자 창자가 토막토막 끊어져 있었다. 자식을 잃은 슬픔이 창자를 끊은 것이다. 배 안의 사람들은 모두 놀라고, 이 말을 전해 들은 환온은 새끼원숭이를 풀어 주고 그 원숭이를 잡아 왔던 병사를 매질한 다음 내쫓아 버렸다. 또 당(唐)나라 시인 백거이(白居易)도 "장한가(長恨歌)"에서 양귀비를 그리워하는 현종(玄宗)의 심정을 이렇게 읊고 있다.
蜀江水碧蜀山靑: 촉의 강물 푸르르고 촉의 산도 푸른데 聖主朝朝暮暮情: 천자는 아침저녁으로 양귀비를 그리워하니, 行宮見月傷心色: 행궁에서 보는 달은 마음을 아프게 하고 夜雨聞鈴腸斷聲: 밤비에 울리는 풍경소리는 간장을 도려내는 듯하네. 이렇듯 斷腸은, 그것이 부모 자식 간이든 연인간이든 친구간이든 창자가 끊어질 정도로 슬픈 이별의 아픔을 나타낸다. |
大驚失色 대경실색 | |
풀이 | 크게 놀라서 낯빛을 잃음. ⇨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. |
용례 | 어머니는 아들의 다친 손목을 보더니 大驚失色을 하셨다. |
滿面喜色 만면희색 | |
풀이 | 얼굴에 가득 찬 기쁜 빛 |
용례 | 아버지와 어머니는 손님을 보내고 나서 滿面喜色을 띠고 집으로 들어오셨다. |
哀而不悲 애이불비 | |
풀이 | ① 슬프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. ② 슬프기는 하나 비참하지는 아니함. |
용례 | 슬프지만 슬픔을 드러내지 않는 그의 음악은 哀而不悲의 정서가 담겨 있다. |
一喜一悲 일희일비 | |
풀이 | ① 한편으로는 기뻐하고 한편으로는 슬퍼함. ② 기쁨과 슬픔이 번갈아 일어남. ③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슬픔. |
용례 | 그의 발언 하나하나에 一喜一悲하지 말라고 권고하였다. |
切齒腐心 절치부심 | |
풀이 |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임. |
용례 | 제 실력을 발휘할 기회를 잡지 못했던 그가 切齒腐心 끝에 잠시 꺾였던 날개를 다시 펴고 비상할 수 있게 되었다. |
喜怒哀樂 희로애락 | |
풀이 | 기쁨과 노여움과 슬픔과 즐거움을 아울러 이르는 말 |
용례 | 우리는 각자의 喜怒哀樂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도 하고, 혼자만의 기억으로 간직해 두기도 한다. |
喜喜樂樂 희희낙락 | |
풀이 | 매우 기뻐하고 즐거워함. |
용례 | 눈이 녹은 길은 질척거렸지만 아이들만은 쏟아지는 눈을 온몸에 받으며 喜喜樂樂이었다. |